그러나 식품으로 허가받은 상품도 있어 건강식품은 기능성 검증 없이 제조될 수 있을 것입니다. 소비자에게 강점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이 이루어지며, 유기농과 무부형제가 전형적이다.
유산균은 '균'이므로 유기농이 될 수 있지 않고, 부원료만 유기농으로 사용한 제품은 가격이 비쌀 수 있을 것입니다. 무부형제로 쓰이 상황은 이산화규소는 발암 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스테아린산마그네슘도 비실질적인 수치다.
안전한 성분을 아이에게 주고 싶지만, 공포마케팅에 휘둘릴 니즈는 없다. 아이가 잘 먹고 자고 발달 발달에 문제가 없다면 멀티비타민이 필수는 아니다.
시판되는 멀티비타민의 당분으로 인해 밥을 잘 안 먹게 되는 부작용도 있습니다. 매일 챙겨 먹기보다는 아이가 아프거나 체력이 떨어졌을 때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멀티비타민은 여러 성분이 적당한 함량으로 배합됐는지가 중요하며, 비타민 B군은 유년기에 꼭 필요한 미량영양소이므로 골고루 포함됐는지 확인해서야 끝낸다.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A와 면역력을 기르는 아연도 체크해야 된다. 두 돌 전까지는 비타민 D와 유산균이면 충분하며, 비타민 D는 신생아 때부터 강제적으로 먹이것은 것이 좋다.
유산균은 아이의 면역력 형성에 근본적인 역할을 하며, 두 돌 직후에는 오메가 3 섭취도 생각해야 끝낸다. 가공식품을 선호하는 아이들은 몸에 나쁜 기름이 쌓일 수 있으므로, 오메가 3를 섭취해 체내의 오메가 3와 오메가 6의 비율을 맞춰주는 것이 좋다.
독감 등으로 컨디션이 떨어지면 비타민 C와 아연을 평소보다 크게 욕구로 하며,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는 프로폴리스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면역력을 강화해주는 유산균을 평소 열심히 섭취하는 것도 중요해요. 영양제를 크게 먹는 경우 아연 함량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아연은 면역에 도움이 되지만 과다 복용 시 구리의 섭취를 저지하고 식욕부진, 복통, 설사, 구토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천연 성분은 자연 친화적이지만 흡수율이 낮고, 권장 함량을 널널하게 흡수하기 위해서는 확실히 천연을 고집할 욕구는 없다. 어린이용 영양제는 기호성을 감안해 당분을 이용한 임산부 효소 추천 제품이 대부분이고, 당분의 총량이 3g 미만이라면 준수하다고 테스트할 수 있다.